4/22/2025

[Marca, vidriera y aislamiento acústico]

파라과이 아순시온

En estos días, las comunidades dedicadas a bolsos de lujo están ardiendo con debates sobre los lugares de fabricación y la estructura de costos de las marcas europeas de alta gama.




Una simple etiqueta que dice “Made in China” ha comenzado a sacudir todo el valor que una marca decía representar.
Esto no es solo una polémica sobre el país de origen, sino quizás una señal de que se está agrietando la estructura emocional del consumidor.

Aunque este debate ha explotado en Estados Unidos, en realidad, ya había ocurrido algo similar en Corea el año pasado.

Con el caso de la marca "D", las reacciones en comunidades coreanas fueron frías y algo sarcásticas.

El público se enfocó activamente en la controversia y participó en el ruido, pero al final..


Por eso, en los comentarios de las noticias coreanas sobre este tema actual, no es difícil encontrar frases como: “¿No lo sabían ya?”
No está claro a quién va dirigido ese escepticismo, pero sigue flotando.


Las campañas de las marcas y el consumo global se mueven al mismo tiempo, pero la decepción hacia las marcas suele dispersarse de manera local y tenue.
Pensándolo bien, incluso cuando ocurren cosas similares, la sensibilidad y el tono del debate varían según el país.


Pero esta vez comenzó en EE. UU.,
y por eso, la chispa se convirtió rápidamente en un tema de conversación global.


En el centro de esta discusión está Hermès.
La mayoría no lo considera una marca accesible, sino más bien un símbolo inalcanzable, el extremo de un deseo.
Por eso, en el interés que ha generado esta polémica, también se siente una mirada curiosa: “¿Incluso esa marca puede caer?”

Más que decepción, hay una actitud que observa cómo se reconfigura la narrativa.

Personalmente, lo único que consumo es su perfume,
pero me gusta leer y escuchar sobre Hermès.


Creo que, en lugar de debilitarse, Hermès fortalecerá aún más su vínculo con su “cliente central” a raíz de esta situación.
Incluso si la marca no lo desea, eso sucederá.


La polémica ya está en curso, pero la vidriera de Hermès servirá como una barrera acústica que impide que el ruido exterior entre al silencio interior de la tienda.

Con la forma más lujosa de silencio, reflejarán el mismo mundo de siempre a través del mismo escaparate.


Podemos mirar esa vidriera con indignación, o seguir deseándola como si nada hubiera pasado.
Quizás, todos estos sentimientos…
también formen parte del guión que el lujo escribió para nosotros.



--------------------


요즘 럭셔리 가방 커뮤니티에서 유럽 하이엔드 브랜드의 생산지와 원가 구조를 둘러싼 논란이 점점 더 뜨거워지고 있다.

‘Made in China’라는 태그 한 줄이, 브랜드가 말해온 가치 전체를 뒤흔들기 시작한 것이다.
이건 단순한 생산지 논란이 아니라, 소비자의 감정 구조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는 신호일지도 모른다.

이번 논란은 미국을 중심으로 커지고 있지만, 사실 유사한 내용은 작년에 이미 한국에서도 등장했었다.
‘D브랜드’로 촉발된 이슈에 대해 당시 한국 커뮤니티에서는 냉소적인 반응도 있었고, 대중은 그 논란을 곧잘 소비해 넘겼다.

그래서 현재의 논란을 다룬 한국 뉴스의 댓글에서는
“그걸 몰랐냐?” 하는 반응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여전한 그 냉소의 대상이 어디를 향하는지는 모르겠다.

브랜드의 캠페인과 글로벌 소비는 동시에 움직이지만, 브랜드에 대한 실망은 대부분 지역적이고 느슨하게 퍼진다.
생각해보면, 유사한 일이 발생해도 지역(국가)별로 여론과 민감도가 다른 것도 흥미롭다.

하지만 이번엔 미국에서 불이 붙었고, 그 불씨는 순식간에 글로벌 담론으로 비화됐다.

이번 이슈의 중심엔 Hermès가 있다.
사람들은 그 브랜드를 실제 구매 대상이라기보다는 도달할 수 없는 상징, 욕망의 극단으로 바라본다.
그래서 이번 논란에 쏟아지는 관심에는 “그 브랜드조차 무너지나?”라는 기대 섞인 시선도 느껴진다.
단지 실망이라기보다, 서사가 재구성되는 순간을 관전하려는 태도다.

내가 직접 소비하는 건 향수뿐이지만,
나는 Hermès를 읽고 듣는 것을 좋아한다.

내 생각에 Hermès는 오히려 이번 이슈를 통해 더욱 그들의 ‘코어 클라이언트’와 결속을 다질 것 같다.
심지어 브랜드가 원하건, 원하지 않건 간에.

논란은 이미 진행 중이지만, Hermès의 쇼윈도는 외부의 소음과 스토어 내부의 고요가 맞닿지 않게 하는 방음벽이 될 것이다.
그들은 가장 럭셔리한 방식으로 조용히, 동일한 창을 통해 동일한 세계를 비출 것 같다.

우리는 그 쇼윈도를 보며 분노할 수도 있고,
아무 일도 없다는 듯 계속 열망할 수도 있다.
어쩌면 이 모든 감정 역시—
럭셔리가 연출한 기획의 일부일지도 모른다.

4/21/2025

[취향, 소비, 그리고 브랜드] bon Appétit : 좋아한다고 말해요.

파라과이 아순시온
가까운 사람들 사이에서 형성되어 일시적으로 향유된 공동의 취향은 내향적이다.
현재의 호소가 아닌, 미래의 추억에 대한 무의식적인 배팅일 것이다.
어떠한 것들은 소음을 피해 빨리 사라져버리기도 한다.
소동이 발생하기 전에 파티장을 떠나버리는 친구들의 무리처럼.



내가 조잘거리는 ‘취향’이라는 것은, 거의 대부분 소비와 관련되어 있다.
음악도, 향기도, 잠잘 때 살갗에 닿는 침구의 질감도.
나아가 대부분의 감각 기관으로 느끼는 일상의 거의 모든 것들은—다 돈이다.
(딱 그 선에서만 이야기하고자 한다.)
내가 주변 사람의 영향을 받아 소비하는 브랜드는
Johnnie WalkerCreedSony 정도이고,
내가 주변에 영향을 주는—그러니까 일상에서 만족감을 표하며 전파하는—브랜드는
LongchampStaubXiaomi
가 되겠다.
(Apple은, 입장 순서만 다른 같은 파티장이다.)
나이가 들면서,
생활과 소비의 형태가 친구들과 함께 천천히 달라지는 것 같다.
오늘은 여기까지 생각했다.




깊고 냉정하게 생각하면,
‘친구는 소비에 있어 가장 강한 영향을 주는 대상’이고
‘대부분의 추억은 소비를 매개로 전개된다’는
쓴맛 나는 결론이 떠오른다.
그래서 이 생각은 일단은 더 깊게 파지 않기로 했다.
내가 절대 어쩔 수가 없으므로.
(햇살 좋은 날 대화하며 즐기는 산책은…
내가 자주 즐기지 않기에 ‘취향’이라고 언급하지 않겠다.
사실 이것이 취향의 영역에 들어가는지도 모르겠다.)

취향의 범위는 어디인가?

진짜, 여기까지만 생각해야지.

3/27/2025

Project INSAIT 2025

파라과이 아순시온

 




뭘까?

Insait.py

note : Peaceful Anxiety

파라과이 아순시온

 


Today, the morning repeated itself in the same familiar pattern.

I stared for a long while at the blank page of my notebook, wondering what to write, and eventually decided to leave it as it was.

These days, I can feel the faint traces of lingering fatigue in the air. The cause of this fatigue is scattered without pattern throughout my daily routine—the roughly eighteen waking hours that refuse to follow any rhythm. It’s like a hairbrush used and then misplaced without thought.

Anxiety, it seems, has become something closer than a roommate, coworker, or even family member—a constant, undeniable presence sharing my everyday space. Yes, I acknowledge anxiety’s very existence. A large, imaginary storm has already passed, leaving a peculiar certainty, entirely baseless, that the next one will be smaller.

This morning feels tinged with a strangely peaceful anxiety.
Yet, these ramblings aren't aimed at seeking anyone else's understanding. Perhaps I’m simply jotting them down to remember the storms that passed, or to puzzle over myself in the future when I can't fully understand who I was.

Ah... he understood me. He still does. Amazingly so.